본문 바로가기
current affairs/connecting education stories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by connecting story 2025. 1. 24.
반응형
반응형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점수 체제 안내

- 2028 수능 국어수학영어 문항 수 및 시험시간 현행 유지

- 탐구 과목당 25문항, 40분간 응시(20문항 3025문항 40)

- 제2외국어·한문 과목당 20문항, 30분간 응시(30문항 4020문항 30)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오승걸, 이하 평가원) 2025121()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의 시험 및 점수 체제를 발표한다.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안(2023.12.)에 따라 2028학년도 수능부터 국어, 수학, 탐구 영역의 선택과목이 폐지되는 통합융합형 수능이 시행된다. 교육부와 평가원은 수능 시험 시행의 안정성과 대입전형 활용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028학년도 수능부터 적용되는 영역별 문항 수 및 시험시간, 성적통지표 양식을 다음과 같이 확정하였다.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별 문항 수 및 시험 시간

 

2028학년도 수능 국어수학영어 영역은 문항 수 및 시험시간이 현행 유지된다. <국어 영역>은 선택과목이 폐지되지만 문항 수와 시험시간은 현행과 동일하게 45문항 80분으로 유지된다. <수학 영역>도 선택과목이 폐지되나, 문항 수와 시험시간은 현행과 동일하게 30문항(단답형 9문항 포함) 100분으로 유지된다. <영어 영역>은 현행과 동일하게 45문항(듣기평가 17문항 포함) 70분이다.

 

필수 응시과목인 <한국사 영역>20문항 30분으로 현행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탐구 영역> 사회·과학탐구는 선택과목이 폐지되고 출제과목이 통합사통합과학으 변경된다. 이에 따라 한 과목당 문항 수와 시험시간을 25문항 40으로 운영하고, 문항별 배점을 1.5, 2, 2.5점으로 구분하여 출.

 

사회과학탐구 영역에 응시하는 수험생은 반드시 두 영역(사회과학탐구 영역) 모두 응시해야 하며, 대학이 각각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도록 점수는 과목별로 산출된다.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답안지를 분리하여 운영하고, 시험시간 사이에 문제지 및 답안지 회수배부 시간 15(일반 수험생 기준)을 부여한다.

 

<탐구 영역> 직업탐구 선택과목 없이 성공적인 직업생활만 출제한다. 사회·과학탐구와 동일하게 25문항 40분으로 운영하며 문항별 배점을 1.5, 2, 2.5으로 구분하여 출제한다. <2외국어·한문 영역>2028학년도 수능부터 20문항 30분으로 운영되며, 문항별 배점을 2, 3점으로 구분하여 출제한.

 

시험 시행 순서는 현행과 동일하게 1교시 국어, 2교시 수학, 3교시 영어, 4교시 한국사탐구, 5교시 제2외국어한문 순으로 진행한다.

 

교시 현행(~2027수능) 개편안(2028수능~) 비고
1교시
국어 영역
45문항 80 현행 유지
2교시
수학 영역
30문항 100 현행 유지 단답형 9문항 포함
3교시
영어 영역
45문항 70 현행 유지 듣기 17문항 포함
4교시
한국사 /
탐구 영역
(한국사) 20문항 30 현행 유지 필수 응시과목
(탐구) 과목당 20문항 30
최대 2과목 선택 가능
(탐구) 과목당 25문항 40
사회·과학 응시자는 반드시 사회과학에 모두 응시

5교시
2외국어·한문 영역
30문항 40 20문항 30  

 

 

* 2028학년도 수능 시험 시간표(일반 수험생 기준)

교시 시험영역 시험시간(소요시간) 문항 수 비고
수험생 입실 완료 08:10
1 국어 08:40~10:00(80) 45
휴식 10:00~10:20 (20)
2 수학 10:30~12:10(100) 30 단답형 30% 포함
중식 12:10~13:00(50)
3 영어 13:10~14:20(70) 45 듣기평가 문항 17개 포함
- 13:10부터 25분 이내
휴식 14:20~14:40(20)
4 한국사 시험 14:50~15:20(30) 20 필수영역
한국사 문답지 회수
사회직업탐구 문답지 배부
15:20~15:35(15)
문답지 회수 및 배부시간 15
- 탐구 영역 미선택자 대기실 이동
사회직업탐구 시험 15:35~16:15(40) 25
사회직업탐구 문답지 회수
과학탐구 문답지 배부
16:15~16:30(15)
문답지 회수 및 배부시간 15
- 사회과학탐구 선택자는 반드시 사회과학탐구에 모두 응시
과학탐구 시험 16:30~17:10(40) 25
휴식 17:10~17:25(15)
5 2외국어/한문 17:35~18:05(30) 20 듣기평가는 실시하지 않음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통지표 양식

 

수능 시험체제가 개편됨에 따라 수능 성적통지표 양식이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성적 제공방식은 현행과 동일하게 국어수학탐구 영역은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기재되고, 한국사, 영어, 2외국어·한문 영역은 등급만 기재된다. 9등급 구분을 유지한다.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통지표(안)

 

 

 

 

교육부와 평가원은 학생학부모의 수능 시험 준비를 돕기 위해 2028학년도 수능부터 출제과목 등이 변동되는 국어, 수학 및 사회과학탐구 영역의 전체 문항을 개발하여 2025년 상반기 중 안내할 계획이다.

 

최은희 인재정책실장은 통합융합형 수능의 도입으로 모든 학생들이 동등한 조건에서 공정한 수능을 치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하며, “새로운 수능 체제에서도 학생학부모가 걱정 없이 학교 수업 중심으로 수능을 준비해 나갈 수 있도록 공교육 중심 수능 출제 기조 유지에 더욱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2028학년도 수능 시험 및 점수 체제

 

구분
영역
문항 수 문항유형 배점 시험 시간 출제범위
문항별 전체
국어 45 5지선다형 2,3 100 80 출제과목 : 화법과 언어, 독서와 작문, 문학
출제과목을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여 출제
수학 30 5지선다형, 단답형 2,3,4 100 100 출제과목 : 대수, 미적분I, 확률과 통계
단답형 30% 포함
영어 45 5지선다형
(듣기 17문항)
2,3 100 70 영어, 영어를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여 출제
한국사
(필수)
20 5지선다형 2,3 50 30 한국사를 바탕으로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기 위한 핵심 내용 중심으로 출제
탐구 사회 25 5지선다형 1.5, 2,
2.5
50 40 출제과목 : (사회탐구) 통합사회
(과학탐구) 통합과학

사회과학탐구 선택자는 반드시 사회과학탐구에 모두 응시
점수는 분리하여 산출
과학 25 5지선다형 1.5, 2,
2.5
50 40
직업 25 5지선다형 1.5, 2,
2.5
50 40 출제과목 : 성공적인 직업생활
2외국어/
한문
과목당 20 5지선다형 2,3 과목당
50
과목당
30
출제과목 :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한문
9개 과목 중 택 1

 

* 빨간색 글씨는 현행 수능 체제 대비 변경 사항임.

 

 

2028학년도 수능 개편안 요약

 

영역 현행(~2027수능) 개편안(2028수능~)
국어 공통+2과목 중 택1

󰋯공통:독서, 문학
󰋯선택:화법과작문, 언어와매체
공통

(화법과언어, 독서와작문, 문학)
수학 공통+3과목 중 택1

󰋯공통:수학, 수학
󰋯선택: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공통

(대수, 미적분, 확률과통계)
영어 공통
(영어, 영어)
공통
(영어, 영어)
한국사 공통
(한국사)
공통
(한국사)

사회
·
과학
17과목 중 최대 택2
󰋯사회: 9과목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경제, 정치와, 사회·문화, 생활과윤리, 윤리와사상
󰋯사회 : 공통


(통합사회)
󰋯과학: 8과목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과학 : 공통


(통합과학)
직업 1과목:5과목 중 택1

2과목:공통+[1과목]
󰋯직업 : 공통


(성공적인 직업생활)

󰋯공통:성공적인직업생활
󰋯선택:농업기초기술, 공업일반,
상업경제, 수산·해운산업기초, 인간발달
2외국어
/한문
󰋯2외국어/한문: 9과목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한문
󰋯2외국어/한문: 9과목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한문

 

 

음영표기는 절대평가적용 영역(영어, 한국사, 2외국어/한문)

 

* 교육부 보도자료(2025. 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