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urrent affairs/connecting education stories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 기관 선정

by connecting story 2025. 4. 5.
반응형
반응형

2025년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 인프라 지원 기관 선정 발표

- 학부과정에 서울대·연세대, 대학원 과정에 경북대,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신촌원주) 5개 컨소시엄 선정

 

 

2019년부터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 지원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2025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학부·대학원 인프라) 공고 결과 각각 2개 의과대학*, 5개 컨소시엄(13개 의과대학 대학원)이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발된 기관들은 253월부터 282월까지 3년동안 사업을 수행하면서 의사과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을 양성하게 된다.

 

* (학부) 서울대, 연세대 / 경북대는 ’23년 선발(’23.9~’26.2)되어 지원 중

 

** (대학원) 경북대학교(경북대, 계명대), 고려대학교(영남대, 한양대, 충북대), 서울대학교(충남대), 연세대학교신촌(가톨릭대, 아주대, 차의과대), 연세대학교원주(단독)

 

 

보건복지부는 2019년부터 융합형 의과학자 양성 사업을 통해 박사학위 취득까지 전주기 양성 과정지원하고 있으며, 이렇게 배출된 의사과학자(MD-Ph.D)들이 계속해서 연구할 수 있도록 최대 11(신진 3, 심화3, 리더 5)까지 의사과학자 경력 단계별로 지원하는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한국형 의사과학자
출처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25. 4. 2.)

 

 

 

대학원, 학부과정 의사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그간 의사과학자 지원 사업의 성과를 살펴보면, 대학원 인프라 지원사업은 2019년부터 컨소시엄당 연간 180백만원(국고 기준, 컨소시엄당 180백만원 매칭)을 지원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별 의사과학자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고, 컨소시엄 내 교육·연구 협력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컨소시엄 자체적으로 전공의를 선발하여 임상 수련과 병행하며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대학원 의사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또한, 2022년부터는 의과대학 학부과정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연간 270백만원(국고 기준)을 지원하여 의대생들이 의사과학자 진로에 대해 미리 경험하고 고민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마련하고, 연구 실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학부과정 의사과학자 양성 프로그램

 

이번에 선정된 기관들은 연속적인 사업 추진을 통해 이러한 성과를 더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의사과학자는 임상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연구실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바이오 헬스 분야의 핵심 인재라며, “학부부터 의사과학자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할 수 있도록 저변을 확대하고, ·박사생에게는 연구에 집중하며, 지속적으로 연구를 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사업 확대를 위한 예산 확보, 각종 제도 개선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강조했다.

 

* 자료출처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25. 4. 2.)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개요

 

목적

융합연구가 가능한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의사에게 기초의학, 자연과학, 공학 등 타 학문의 교육 및 연구 지원

- 임상 지식과 타 학문이 융합된 의과학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하여, 바이오메디컬 산업을 육성시킬 수 있는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융복합 연구결과를 활용해 질병치료 및 신약·의료기기 개발에 기여

 

추진 전략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개요

 

사업 개요

 

임상-연구역량을 모두 갖춘 의사과학자(MD-Ph.D)글로벌 바이오헬스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연구지원 체계 구축 및 생태계 조성

(예산) ’25년 총 768

 

 

세부 내역별 추진 내용

 

의사과학자 박사후 연구성장지원

 

양성된 의사과학자(MD-Ph.D)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에도 연구를 지속할 수 있도록 단계별·체계적 연구지원

박사학위 취득 후 기간에 따라 신진(5년 이내)·심화(10년 이내)·리더(15년 이내) 의사과학자로 구분하여 지원

 

의사과학자 글로벌 공동연구 지원

 

국내외 의사과학자 중심의 다학제 공동 연구 지원을 통해 향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의사과학자 배출

* (지원대상) 의사과학자(MD-Ph.D)를 연구책임자로 하여, 국내외 우수연구자 간 교류를 통한 혁신적 연구성과 창출 도모

 

의과학자 글로벌 연수 지원

 

의사과학자를 포함한 의과학자의 융합 연구 활성화를 위해 선도기술 보유연구 중인 해외연구기관 등 방문 연수 기회 제공

* (지원대상) 의약학 계열 전문자격증을 취득한 석사학위 이상 연구자 및 바이오메디컬 분야 석사학위 이상 연구자

 

 

* 자료출처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25. 4.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