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내내 얼어붙었던 땅이 따스한 햇살에 녹아내리기 시작했다. 지금 내리고 있는 비만 지나가면 좀 따뜻해질려나..
바야흐로 봄이 찾아왔다. 이번 주말은 완연한 봄날씨 일 것 같다.
하지만 계절에 맞춰 꽃구경을 갈 수 있다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닌 것 같다.
시간이 없어서 못가고 해야할 일이 많아 못가고..
한 폭의 그림같은 축제를 눈앞에 두고도 창밖으로, 모니터로만 볼 수 없는 상황이 안타깝다.
시간이 없어서가 아니라 시간은 안내서라던데...

2025년 봄철 꽃나무 개화 시기 다소 늦어질 전망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산림에서 봄을 가장 먼저 알리는 생강나무, 진달래, 벚나무류의 개화 시기를 담은 ‘2025년 봄철 꽃나무 개화 예측지도’를 발표하며, 올해 개화 시기가 지난해보다 다소 늦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 겨울(12월~2월) 평균기온은 0.7℃로 평년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올겨울 평균기온은 –1.8℃로 지난해보다 2.5℃ 낮아져 추운 날씨로 인해 개화가 늦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꽃나무 개화 시기는 3월 중순 제주도를 시작으로 남부지방을 거쳐 4월 초순 무렵 전국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수종별 만개 시기는 생강나무는 3월 26일, 진달래는 4월 4일, 벚나무류는 4월 6일로 예측됐다.
한편, 산림청은 국립산림과학원의 산악기상정보를 기반으로, 국립수목원을 비롯해 전국 주요 9개 공립수목원*과 협력해 식물 계절현상(개화, 발아, 단풍, 낙엽 시기)을 관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매년 개화‧단풍 예측지도를 발표하고 있다.
* 강원도립화목원, 물향기수목원, 미동산수목원, 금강수목원, 대구수목원, 경남수목원, 대아수목원, 완도수목원, 한라수목원 등 9개소
임상섭 산림청장은 “봄철 꽃나무 개화 예측은 국민이 계절 변화를 대비하는 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산림 생태계 변화의 과학적 분석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라며 “지속적인 연구와 정밀한 관측을 통해 더욱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산림이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자료출처 - 산림청 보도자료(2025. 2. 24.)
2025 봄철 꽃나무 개화 예측지도
- 3월 중순 제주도를 시작으로 4월 초순 무렵 전국적으로 확대 예정

'current affairs > connecting daily stor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원 인터넷 개인 미디어 활동 지침 (0) | 2025.02.20 |
---|---|
교원 겸직 허가 가이드라인 (3) | 2025.02.19 |
흔들리며 피는 꽃(도종환) (0) | 2025.02.11 |
연령대별 자주 발생하는 질환 정리 (1) | 2025.01.13 |
2025년 직종별 공무원 봉급표 - 3 (1) | 2025.01.10 |